전체 글8 항체 생산 이론 1) 측쇄 설(Side chain theory) 1900년에 Paul Ehrlich에 의해 제창된 것으로 그의 생각에 의하면 독소의 표적세포에는 원래 영양물을 간직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용체 (receptor)가 있는데 독소가 이 수용체의 어떤 측쇄구조와 친화성을 가지고 있으면 수용체와 결합해서 세포를 공격하는 것이다. 이 세포는 자기의 대사 기구를 유지할 필요 때문에 독소와 결합한 것과 동일한 수용체 분자를 너무 많이 생산하고 그것이 혈류 중에 방출된 것이 항체라고 Ehrlich는 생각하였다. Jenner는 지령설에 반대해서 1955년에 선택설의 부활이라고 할 수 있는 자연선택설을 제창하였다. 이 설에서는 globulin 합성 세포는 많은 종류의 다양한 항체를 조금씩 계속 만드는 유전적 능력을 갖추고 .. 2022. 9. 12. 면역의 성립과 조절 1) 1차 면역응답과 2차 면역응답 면역의 응답에는 1차 면역응답과 2차 면역응답이 있는데, 항원 자극이 있을 때 제일 먼저 IgM 항체가 출현해서 증가하고 조금 늦게 IgG 항체가 출현하기 시작하여 IgG 항체가 증가함과 동시에 IgM 항체의 생산이 감소하고 IgG 항체가 상승하여 마침내 항체의 대부분이 IgG로 되는 것을 1차 면역응답이라 한다. 그리고, 항체 상승기에 소량의 항원을 다시 주사하면 항체는 일시 저하하지만, 그런 이후에 항체 생산이 강해진다. 대량의 항원을 다시 주사하면 항체는 완전히 소실된 다음 다시 출현해서 강하게 상승한다. 이처럼 항체가가 저하 혹은 소실된 시기를 음성기(negative phase)라 부르고, 이 음성기는 유혈 중의 항체가 새로 들어간 항원과 결합해서 소비되었기 때.. 2022. 9. 12.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는 림프구가 주체이며 이 림프구는 간세포(stem cell)에서 분화되어 나타난다. 간세포는 태생기 중에는 주로 간에서 생성되지만 출생할 때 및 신생아기에서는 골수로 옮겨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인에서는 골수뿐만 아니라 Lymph node, 간에서도 나타난다. 1) 림프구(Lymphocytes) - 골수 중의 stem cell은 흉선으로 가는 세포와 조류의 주머니(bursa)에 해당하는 기관으로 들어가는 것의 두 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흉선에 들어가서 분열, 증식을 반복하는 세포를 T림프구 또는 T세포라 하고, 조류의 주머니에 해당하는 기관에 들어가서 분열, 증식을 반복하는 세포를 B 림프구 또는 B세포라 하는데, 이 주머니(bursa)에 해당하는 기관이 조류에는 bursa of .. 2022. 9. 12. 면역글로불린의 정제방법 및 면역에 관여하는 기관 면역글로불린 중에는 여러 종류의 미생물에 대한 항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마진, 풍진, 수두, 파상풍, 디프테리아 등의 치료에 회복기 환자의 혈청이나 과 면역된 사람의 면역글로불린이 사용된다. 또 불완전한 증후군의 치료에 대량의 면역글로불린을 반복해서 주사함으로 감염증의 예방이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Rh 양성의 아이를 밴 Rh 음성의 산모에게 분만 직후(72시간 이내)에 과 면역된 Rh 항체를 주사하면 다음 임신 때 신생아 용혈성 질환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태반 박리 시 태아로부터 모체에 들어간 Rh 양성 혈구에 주사한 항 Rh 항체가 결합해서 Rh 양성 혈구의 항원성을 신속히 저하해 Rh 혈액형 부적합에 의한 신생아 용혈성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다. 면역글로불린은 여러 가지 질환과.. 2022. 8. 16. 이전 1 2 다음